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프로이센의 왕
재위 1713년 ~ 1740년
전임 프리드리히 1세
후임 프리드리히 2세
부왕 프리드리히 1세
이름
별호 군인왕
신상정보
출생일 1688년 8월 14일
출생지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베를린
사망일 1740년 5월 31일(1740-05-31)(51세)
사망지 프로이센 왕국 베를린
가문 호엔촐레른가
부친 프리드리히 1세
모친 조피 샤를로테
배우자 조피 도로테아
종교 칼뱅교
서명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독일어: Friedrich Wilhelm I, 1688년 8월 15일 ~ 1740년 5월 31일)는 제2대 프로이센의 국왕 (1713년 ~ 1740년)이었다. 그는 프로이센의 초대 국왕인 브란덴부르크의 프리드리히 3세의 아들이었다. 그가 왕위를 물려받았을 때 그의 왕국은 재정적으로 고갈되었다. 군대의 상태는 비참했고 상황을 고치는 데 자신의 부친에 의하여 남겨진 의지가 없었다. 그럼에 불구하고 자신의 군림의 말기에 그는 유능하고 잘 갖추어진 병사들과 함께 강한 군대를 가졌다. 그는 그때까지 국고의 상태마저 회복하였다. 하지만 프리드리히 빌헬름 자신은 왕국에서 이 엄청난 변화와 개발을 일으키는 데 가난한 인물처럼 살았다. 그는 자신의 국민들을 위하여 열심히 일했고, 전체 20년의 세월 안에 비약적으로 경제와 군사 성장에 도움을 주는 데 공무원의 규제, 구획 제도의 소개와 새로운 세금 제도 같은 다양한 변화와 개혁들을 소개하였다. 하지만 그의 거칠고 폭력적인 성격은 그의 가족과 국민들을 격퇴하였다. 그는 결국적으로 통풍을 발병시켜 5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초기 생애

베를린에서 브란덴부르크의 프리드리히 3세와 하노버의 조피 샤를로테에게 태어났다. 그는 자신의 조부 대선제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사망 몇달 후에 태어났다고 한다.

자신의 초기 세월 동안 그는 프리드리히의 이상하고 충동적인 행동에 의하여 종종 겁에 질렸던 위그노 가정 교사 마르테 드 루쿨에 의하여 자라왔다. 훗날의 국왕은 한번 구두 죔쇠를 삼키고 뱉는 데 거부하였다.

다른 경우에 그는 만약 자신의 가정 교사가 그의 길을 가도록 두지 않았다면 자신이 3층 건물에서 뛰어내릴 것에 그녀를 위협하였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교련하고 싶었던 생도들의 일단을 형성하는 데 돈을 모으는 것을 즐겼다. 그의 모친도 그에게 잘해주었고 뭐든 하던지 전혀 그를 멈추지 않았다.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부친 프리드리히 1세는 프로이센의 초대 국왕이었고 비록 그가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 아니었어도 그는 아들을 유능한 통치자로 만들었다.

초기 경력

1713년 왕위에 오르기 전에 국왕은 부친의 귀중품들의 대부분을 팔았다. 그는 개인적인 사용을 위하여 부친의 국고를 이용하는 데 원하지 않았다.

그는 국왕의 전형적인 호화로운 생활에 참가하지 않았다. 대신 그는 금욕적인 삶을 살았고, 자신의 집을 궁전 안에 구석으로 옮겨 궁전의 나머지를 행정과 군사적 이용을 위하여 활용하였다.

그는 정원을 열병장으로, 궁전의 방들을 회의장으로 바꾸었다.

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년 ~ 1744년)의 한 가운데 왕위에 올랐다. 이 일은 상황을 위험하게 만들었던 당시 전체의 유럽에 진행 중인 전쟁과 협상들 때문에 그의 승천을 꽤 어렵게 만들었다. 하지만 그의 엄청난 작업 능력은 그가 30,000명 이상의 군인들로 이루어진 강한 군대를 건설하는 도움을 주었다. 그럼에 불구하고 군대는 시초적으로 훈련이 덜 되었다.

하지만 군인 훈련에 그의 일관성은 그의 군대를 80,00명 이상의 숙련되고 잘 갖추어진 남성들로 구성된 강한 군단으로 바꾸었다.

군림

젊은 국왕은 자신의 왕국의 재정적과 군사적 상태를 향상시키는 데 왕실 비용을 지속적으로 절감하였다. 그는 지속적으로 검소하게 살았고, 자신의 내각에 의하여 소개된 세금들을 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여가 시간에 사냥을 하고 맥주를 마시는 것을 즐겼다. 그는 또한 농사, 국고의 엄격한 관리, 습지의 개간, 미래를 위하여 곡물의 저장, 학교와 병원들의 설립과 연간 세금의 이행을 장려하였다.

프로이센에서 모든 공무원에게 명확한 임무를 설정하기 위해 그는 "공무원 규정 교범"을 유지하고 지시하였다. 교범은 모든 직원이 따라야 할 297개의 단락들과 함께 35장을 가졌다.

만약 장관이 위원회 회의에 참석하는 데 실패한다면 그는 6개월 동안 자신의 급여를 잃을 것이었다. 교범에는 많은 다른 규칙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누구나 만약 한번 이상 회의들로부터 결석으로 남아있다면 그는 왕실에서 해임될 것이었다.

전체의 장관들은 자신들에 의하여 자신들의 보고서들을 쓰고 국왕에게 바치는 데 지시되었다. 프리드리히는 전체의 보고서와 제출물들에 마지막 말이 있었다.

그러므로 프리드리히는 얼마간 개인 정부를 소유하였다. 1715년 그는 잠시 스웨덴에 대항하는 대북방 전쟁에 가입하였다. 그는 전쟁에서 러시아표트르 대제를 지지하였다. 전쟁에 가입한 결과로서 그는 발트해 연안을 포함했던 스웨덴령 포메라니아의 작은 부분을 얻었다. 하지만 그는 전쟁에서 자신의 군대의 좋은 부분을 잃었다.

1723년 그는 모든 돈 요청을 초대하고 승인한 "일반 금융 이사회"를 소개하였다. 이 관행에 따라 봉건 부과금은 귀족들과 소작농에 의하여 소유된 대지들에 세금의 효율적인 징수에 의하여 대체되었다. 그것은 또한 고급 식품 뿐만 아니라 주식 제품들에 소비세를 부과하는 것을 연루하였다. 세금 징수에서 이 변화는 국가의 연간 수입이 250 퍼센트에 의하여 오르는 도움을 주었다.

1732년 그는 잘츠부르크개신교도들이 동프로이센에 집을 만드는 데 그들을 초청하였다. 동프로이센은 1709년흑사병으로 그 인구의 대부분을 잃었다. 대략 20,000명의 개신교도들이 프로이센의 위원들의 동행에 독일로 이주하였다.

1733년 그는 각 구획의 소작농과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해당 연대 아래 군대에 의하여 모집되는 데 허용한 구획 제도를 소개하였다. 이 일은 국왕의 군림 말기에 그가 자신의 군대를 2배로 하는 도움을 주었다.

1730년의 하반기까지 프리드리히는 완비되고 강한 군대와 완전한 재정을 가졌다. 하지만 국왕의 성질과 종종 용서하지 않는 성격은 전체에 의하여 싫어졌다. 그는 종종 육체적으로 자신의 시종들과 어떤 경우에 자신의 자녀들을 때렸다고 한다.

가족, 개인 생활과 유산

1706년 11월 28일 프리드리히는 자신의 첫번째 사촌이자 영국의 국왕 조지 1세와 첼레의 조피 도로테아의 딸 하노버의 조피 도로테아에게 결혼하였다. 그는 자신의 부인을 사랑했으나 그의 성격은 조피가 그를 다루는 데 어려운 것으로 찾으면서 그들의 관계를 위하여 문제가 되었다.

일시에 그녀는 그를 미워하기 시작했으며 대부분 또한 "프리츠"로 알려진 그들의 장남 프리드리히와 그의 행동 때문이었다. 그들은 14명의 자녀를 두었다.

프리드리히와 그의 관계는 그가 그들의 성격에 대단한 차이를 그가 그것을 알아차린 후 영향을 받았다. 그는 자신의 군사 훈련에 전념했던 동안 그의 아들이 개신교도가 되고 단순한 인생을 이끄는 것을 원했다.

그는 종종 자신의 부친에 의하여 매를 맞고 그의 가정 교사 한스 헤르만 폰 카테와 국가를 탈출하려는 시도를 했던 동안 투옥마저 되었다. 카테는 군대에 의하여 체포된 후 참수되었다.

1740년 5월 31일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5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그의 최종 세월에 부자 2인조는 크게 화해했다.

출처들은 그의 폭력적인 성격과 끊임없는 기질 문제들은 아마 결국적으로 통풍을 일으켰던 반암을 일으켰을 것이다. 이 일은 그의 사망의 원인이 되었다.

자녀

사진 이름 생일 사망 기타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1707년 11월 23일 1708년 5월 13일(6개월) 머리에 상처가 감염되어 요절.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후작 부인 빌헬미네 1709년 7월 3일 1758년 10월 14일(49세)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후작 프리드리히와 결혼, 1녀
프리드리히 빌헬름 1710년 8월 16일 1711년 7월 21일(11개월) 쇼크로 요절.
프리드리히 1712년 1월 24일 1786년 8월 17일(74세) 왕위 계승, 자녀 없음.
샤를로테 알베르틴 1713년 5월 5일 1714년 6월 10일(1세) 요절
프레데리케 루이제 1714년 9월 28일 1784년 2월 4일(69세)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 후작 카를 빌헬름과 결혼, 2남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부인 필리피네 샤를로테 1716년 3월 13일 1801년 2월 17일(84세)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카를 1세와 결혼, 5남 4녀
루트비히 카를 빌헬름 1717년 5월 2일 1719년 8월 31일 요절
소피아 도로테아 1719년 1월 25일 1765년 11월 13일(46세) 브란덴부르크슈베트 후작 프리드리히 빌헬름과 결혼, 2남 3녀
로비사 울리카 1720년 7월 24일 1782년 7월 2일(61세) 스웨덴 아돌프 프레드리크와 결혼, 4남 1녀
프로이센의 아우구스트 빌헬름 1722년 8월 9일 1758년 6월 12일(35세) 3남 1녀(이 중 장남은 후일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크베들린부르크 수녀원장 안나 아말리아 1723년 11월 9일 1787년 3월 30일(53세) 수녀원장, 미혼
프로이센의 하인리히 1726년 1월 18일 1802년 8월 3일(76세) 헤센카셀의 빌헬미나와 결혼, 자녀 없음.
프로이센의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1730년 5월 23일 1813년 5월 2일(82세) 브란덴부르크슈베트 후작 영애 엘리자베트 루이제와 결혼, 5남 2녀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 King Frederick William I of Prussia and his “obsession”
전임
프리드리히 1세
프로이센의 군주
1713년 - 1740년
후임
프리드리히 2세
전임
프리드리히 1세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1713년 - 1740년
후임
프리드리히 2세
전임
프레데리크 1세
뇌샤텔 공작
1713년 - 1740년
후임
프레데리크
  • v
  • t
  • e
프로이센의 왕
König in Preußen
프로이센 공작
(1525년–1701년)
프로이센 국왕
(1701년–1918년)
  • 프리드리히 1세1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1
  • 프리드리히 "대왕" 2세1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1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1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1: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겸임; 2: 독일 제국 황제 겸임
  • v
  • t
  • e
브란덴부르크계 변경백/선제후
Markgraf von Brandenburg
아스카니엔가
(1157년–1320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1157년-1266년)
브란덴부르크슈텐달 변경백
(1266년-1317년)
  • 요한 2세
  • 콘라트
  • 오토 4세
  • 하인리히 1세 오네 란트
  • 발데마르 데어 그로세
브란덴부르크잘츠베델 변경백
(1267년-1317년)
  • 요한 3세
  • 오토 5세
  • 오토 6세
  • 알브레히트 3세
  • 헤르만 데어 랑게
  • 요한 5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1317년-1320년)
  • 하인리히 1세 오네 란트
  • 발데마르 데어 그로세
  • 하인리히 2세 다스 킨트


비텔스바흐가
(1323년–1373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1323년–1356년)
  • 루트비히 1세 데어 브란덴부르거
  • 루트비히 2세 데어 뢰머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1356년–1373년)
  • 루트비히 2세 데어 뢰머
  • 오토 7세 데어 파울레
룩셈부르크가
(1373년–1415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1373년–1415년)
  • 벤첼
  • 지기스문트
  • 욥슈트
  • 지기스문트
호엔촐레른가
(1415년-1806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1415년-1806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1426년-1440년)
브란덴부르크브란덴부르크 변경백
(1440년-1618년)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 변경백
(1440년-1791년)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변경백
(1440년-1457년/
1486년-1495년/
1515년-1535년)
  • 요한 6세 데어 알키미슈트
  • 알브레히트 3세 아킬레스
  • 지크문트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 변경백
(1535년-1571년)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
(1603년-1769년)
  • 크리스티안
  • 크리스티안 에른스트
  • 게오르크 빌헬름 2세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카를
  • 프리드리히 6세
  • 카를 알렉산더
브란덴부르크슈베트 변경백
(1692년-1788년)
  • 필리프 빌헬름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 v
  • t
  • e
프로이센 왕자
Priz von Preußen
제1세대
  • 프리드리히 빌헬름
제2세대
  • 프리드리히 루이
  • 프리드리히 빌헬름
  • 프리드리히
  • 루이 카를 빌헬름
  • 아우구스투스 빌헬름
  • 하인리히
  • 아우구스투스 페르디난트
제3세대
  • 프리드리히 빌헬름
  • 하인리히
  • 에밀
  • 하인리히
  • 크리스티안
  • 루이 페르디난트
  • 파울
  • 아우구스투스
제4세대
  • 프리드리히 빌헬름
  • 루트비히 카를
  • 하인리히
  • 빌헬름
제5세대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계:
  • 프리드리히 빌헬름
  • 빌헬름
  • 카를
  • 페르디난트
  • 알브레히트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계:
  • 프리드리히
  • 카를
  • 타실로
  • 아달베르트
  • 타실로
  • 발데마르
제6세대
  • 빌헬름 1세계:
  • 프리드리히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계:
  • 프리드리히 카를
  • 알브레히트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계:
  • 알렉산더
  • 게오르크
제7세대
  • 프리드리히 3세계:
  • 빌헬름
  • 하인리히
  • 지기스문트
  • 발데마르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계:
  •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알브레히트
  • 요아힘 알브레히트
  • 프리드리히 빌헬름
제8세대
  • 빌헬름 2세계:
  • 빌헬름
  • 아이텔 프리드리히
  • 아달베르트
  • 아우구스트 빌헬름
  • 오스카어
  • 요아힘
  • 프리드리히 3세계:
  • 발데마르
  • 지기스문트
  • 하인리히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계:
  • 프리드리히 지기스문트
  • 프리드리히 카를
  •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제9세대
  • 빌헬름 2세계:
  • 빌헬름
  • 루이 페르디난트
  • 후베르투스
  • 프리드리히
  • 빌헬름 빅토르
  • 알렉산더 페르디난트
  • 오스카어
  • 부르하르트
  • 빌헬름카를
  • 카를 프란츠
  • 프리드리히 3세계:
  • 알프레트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계:
  • 프리드리히 카를
제10세대
  • 프리드리히 빌헬름
  • 미하엘
  • 루이 페르디난트
  • 크리스티안지기스문트
  • 프리드리히
  • 빌헬름
  • 루페르트
  • 아달베르트
  • 슈테판 알렉산더
  • 빌헬름카를
  • 오스카어
  • 프란츠 빌헬름
  •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 프란츠 프리드리히
제11세대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 크리스티안 루트비히
  • 게오르크
  • 알렉산더
  • 프리드리히
  • 크리스티안
  • 프리드리히 니콜라스
  • 오스카어
  • 알브레히트
제12세대
  • 카를 프리드리히
  • 루이 페르디난트
  • 하인리히
굵은 글씨는 프로이센 국왕으로 즉위했음을 의미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제
  • FAST
  • ISNI
  • VIAF
  • 월드캣
국가
  • 노르웨이
  • 스페인
  • 프랑스
  • BnF 데이터
  • 독일
  • 이탈리아
  • 이스라엘
  • 벨기에
  • 미국
  • 스웨덴
  • 체코
  • 오스트레일리아
  • 그리스
  • 네덜란드
  • 폴란드
  • 바티칸
학술
  • CiNii
아티스트
  • RKD 아티스트
인물
  • BMLO
  • Deutsche Biographie
  • Trove
기타
  • RISM 식별자 people/229517 값은 유효하지 않습니다.
  • SNAC
  • IdRef